반응형
오늘 깃 강의들은거 정리한다
일단 SVN 내용은 다 잊어버리고
기본개념
모든 커밋 로그는 로컬에 남는다.
그걸 원격 저장소에 넣는게 Push,
다른사람이 작업한걸 당겨오는걸 Pull
브랜치가 여러개가 있을수 있는데
세 가지로 일단 정리한다
1. 마스터 / 2. Develop / 3.Feature (작업할 브랜치)
마스터는 관리용이다
모든작업은 Develop 밑에서 이뤄진다
디벨롭에서 Feature/작업할거 형태로 내가 브랜치를 딴다.
하나의 기능은 하나의 브랜치를 갖는다. 절대 두개 하는걸 지양한다.
소스트리를 쓰면 좋은게 더블클릭으로 각 브랜치를 왔다갔다 할 수 있다
디밸롭을 체크아웃 받고나서 내가 작업할 브랜치를 따면 된다
커밋은 수시로 워크스페이스 -파일 상태 에서 로그를 남기면 된다.
퇴근전에 원격 저장소에 내 브랜치를 Push 하면 된다
-=-
릴리즈할때가 되면 (정기배포)
릴리즈 브랜치를 딴다.
거기서 필요한것들을 머지해서 릴리즈 브랜치를 만들고
배포가 끝나면 디밸롭이랑 마스터에 해당내용을 머지한다
---
일단 여기까지
반응형
'IT > IT뻘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년차 개발자 나는 어떤 컴퓨터공학 전공과목을 들었었나? (0) | 2019.04.02 |
---|---|
오빠, 컴공인데 왜 조립을 못해요? (0) | 2018.11.20 |
PLCC 카드가 무슨뜻이지? (0) | 2018.04.20 |
컴공나왔지만 개발을 못하면, 뭐하고 살아야됩니까 (5) | 2018.03.16 |
컴퓨터공학과 나오면 어떤회사 들어가는게 좋을까요? (0) | 2018.03.13 |